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 만약 자네가 부모라면 어떻게 할텐가?

책 [미움받을 용기] 중 일부분입니다.

부모공부에 도움될만한 내용이여서 가져왔습니다~! 


철학자 - 예를 들어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가 있다고 하세. 수업시간에는 딴청을 부리고, 숙제도 하지 않고, 툭하면 교과서를 학교에 두고오지. 만약 자네가 부모라면 어떻게 할텐가?

 

청년 - 물론 온갖 수간을 써서 공부를 시키겠죠. 학원을 보내거나, 가정교사를 붙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귀를 잡아끌어서라도 책상에 앉혀야죠. 그것이 부모의 책무니까. 실제로 저도 그렇게 컸어요. 그날 숙제를 마칠 때까지 저녁을 먹지 못했습니다.

 

철학자 - 그러면 하나 더 묻지. 그런 강압에 못이겨서 공부를 하게 된 결과, 자네는 공부를 좋아하게 됐나?

 

청년- 안타깝게도 좋아지지 않았습니다. 학교에서 공부하라고 하니까, 대학에 가려면 시험을 봐야 하니까 어쩔 수 없이 한 거죠.

 

철학자 - 알겠네. 그러면 아들러의 심리학의 기본적인 입장부터 설명하겠네. 예를 들어 눈앞에 '공부한다'라는 과제가 있을 때,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이것은 누구의 과제인가" 라는 관점에서 생각한다네.

 

청년 - 누구의 과제인가라고요?

 

철학자 - 아이가 공부를 하는가, 하지 않는가. 혹은 친구와 놀러가는가, 가지 않는가. 원래 이것은 아이의 과제이지 부모의 과제가 아닐세.

 

철학자 - 공부하는 것은 아이의 과제일세. 거기에 대고 부모가 공부해 라고 명형하는 것은 타인의 과제에 비유하자면 흙투성이 발을 들이미는 행위일세. 그러면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되지. 우리는 이것은 누구의 과제인가? 라는 관점에서 자시느이 과제와 타인의 과제를 분리할 필요가 있네.

 

모든 인간관계의 트러블은 대부분 타인의 과제에 함부로 침범하는 것 혹은 자신의 과제에 함부로 침범해 들어노는 것 에 의해 발생한다네.

 

청년 - 아이에게 공부를 시키는 것은 부모의 책무라고 생각해요. 자기가 알아서 공부하는 아이는 거의 없는데다, 누가 뭐래도 부모는 보호자니까요.

 

철학자 - 누구의 과제인지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하네. 그 선택이 가져온 결과를 최종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누구인가?를 생각하게. 만약 아이가 공부하지 않는다 라는 선택을 했을 때 그 결정이 가져올 결과를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사람은 부모가 아니야. 아이란 말이지.

청년 - 아뇨아뇨, 절대 그렇지 않아요! 그런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인생의 선배이자 보호자이기도 한 부모에게는 아이에게 “공부해”라고 타이를 책임이 있어요. 이것은 아이를 위한 것이지 과제를 침범하는 행위가 아닙니다. ‘공부하는 것’은 아이의 과제일지 모르지만, ‘아이를 공부시키는 것’은 부모의 과제예요.

철학자 - 세상 부모들은 흔히 “너를 위해서야”라고 말하지. 하지만 부모들은 명백히 자신의 목적(세상의 이목이나 체면일지도 모르고, 지배욕일지도 모르지)을 만족시키기 위해 행동한다네. 즉 ‘너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를 위해서’이고, 그 기만을 알아차렸기에 아이가 반발하는 걸세.

청년 - 그러면 아이가 전혀 공부를 하지 않아도 그것은 아이의 과제니까 방치하라는 겁니까?


철학자 - 여기에는 주의가 필요하네. 아들러 심리학은 방임주의를 권하는 게 아닐세. 방임이란 아이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 태도라네. 그게 아니라 아이가 무엇을 하는지 알고 있는 상태에서 지켜보는 것. 공부에 관해 말하자면, 그것이 본인의 과제라는 것을 알리고, 만약 본인이 공부하고 싶을 때는 언제든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사를 전하는 걸세. 단 아이의 과제에는 함부로 침범하지 말아야 하네.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이래라저래라 잔소리를 해서는 안 된다는 거지.



청년 - 부모자식 관계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죠?

철학자 - 물론이지. 이를테면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상담 시에 내담자가 변하는가, 변하지 않는가는 카운슬러의 과제가 아니라고 여기네.

청년 - 왜죠?

철학자 - 상담을 받은 결과, 내담자가 어떤 결심을 했는가. 생활양식을 바꿨는가, 바꾸지 않았는가. 이는 내담자 본인의 과제고 카운슬러는 거기에 개입할 수 없네.

청년 - 아니아니, 그런 무책임한 태도가 허용된다니요!

철학자 - 물론 곁에서 최선을 다해 돕기는 하지. 하지만 끝까지 개입하지는 않아. 어느 나라에  “말을 물가에 데려갈 수는 있지만 물을 마시게 할 수는 없다”라는 속담이 있다네. 아들러 심리학에서 하는 상담, 혹은 타인에 대한 지원 전반이 그런 입장에 있다고 생각하게. 본인의 의향을 무시하고 ‘변하는 것’을 강요해봤자 나중에 반발심만 커질 뿐이지.

청년 - 카운슬러는 내담자의 인생을 바꿔주지 않는다는 겁니까?

철학자 - 자신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네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